print("hello lua")
인자로 주는 문자열이나 변수 등의 값을 화면에 출력해주는 역할
식별자
변수, 함수의 이름으로 사용되는 것
영어 대소문자
숫자
언더바 ( _ )
규칙은 C++과 같다
숫자로 시작하거나 공백 포함 불가능
and, break, do, else, elseif, end, false, for, function, if, in local, nil, not, or, repeat, return, then, true, until, while
미리 정의된 예약어 사용 불가능
지역변수, 전역변수
Lua에서 보통 local 이라는 키워드를 붙여 변수를 사용한다
local a → a 라는 변수를 사용하겠다
local을 붙이면 a라는 변수를 지역변수로 생성하여 사용하겠다고 하는 것
a = 7 → local 안붙이면 전역변수
처음 변수를 선언할 때, 지역변수로 선언해주는 것이 좋다
특수한 경우에만 전역변수, 보통의 경우에는 지역변수를 이용한다
<html />local a = 11 --지역변수 a를 선언하고 여기에 11이라는 숫자 값을 입력을 한 것이다. print(a) --a 변수 값을 화면에 출력을 하고 싶으면 이렇게 하면 11이 출력이 된다. local _num = 22.3 --숫자로만 시작하지 않는다면 이런 이름도 가능하다.
숫자형
루아에서는 숫자는 정수, 실수로 구분하지 않고 전부 숫자형으로 관리가 된다.
<html />local x = -0.3 local y = 0 print(y) --y의 값인 0을 출력한다. y = x + 10 --한번 생성이 되면 이런 식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print(y) --F5를 누르면 앞서 적었던 print(y) 값인 0이 먼저 출력되고 -0.3+10의 값인 9.7이 그 다음에 출력된다.
한 줄에 여러 개의 변수를 생성하고 초기화하는 방법
<html />local a, b --a와 b 변수를 동시에 생성해라. a=11 b=22 print(a,b) --실행시키면 출력창에 11 22 라고 나온다.
변수를 생성하는 동시에 초기화 하는 방법
<html />local a, b = 11, 22 --a와 b가 지역변수로 생성이 되는데 a에는 11값이 대입이 되고 b에는 22값이 순서대로 대입이 된다. print(a,b) --이걸 실행시키면 똑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local a,b,c = 11, 22, 33.4 --3개 이상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local x, y = a+b, a-b --x에는 11+22, y에는 11-22 가 대입이 될 것이다. print(x,y) --33과 -11이 출력된다.
산술연산자
산술연산자 | 기능 | 예 |
+ | 덧셈 | 11+22.2 a+33 x+y |
- | 뺄셈 | 11-22.2 a-33 x-y -1 -b |
* | 곱셈 | 11*22.2 a*33 x*y |
/ | 나눗셈 | 11/22.2 a/33 x/y 5/3 |
% | 나머지 | 22.2%11 a%2 x%y 5%3 |
^ | 거듭제곱 | 2^10 a^10 x^y |
<html />local x, y = 3, 4 x = x + y --x가 처음에 3이였는데 이 명령어가 실행이 되면 3+4 의 값인 7로 변환(대입)이 된다. y = y - 5 --y의 값이 -1이 된다. local a = x*y local b = x/y print(a,b) --둘 다 -7의 값이 나온다.
/ 나눗셈
3 / 5
정수를 정수로 나눠도 정확히 0.6 실수값으로 값이 구해진다.
C++와 다르게 나눗셈의 두 연산자가 정수로 보여도 나눗셈의 결과값은 실수로 정확하게 구해진다.
우리 눈에 정수처럼 보여도 내부적으로는 실수형으로 저장이 된다.
루아에서는 정수, 실수 구분이 없고 전부 실수로 저장이 되어 정확히 계산이 가능한 것이다.
- 뺄셈과 부호연산자
<html />local m = 3 m = 10-m --수학의 뺄셈 local n = -m --뒤에 있는 기호를 반대로 해주는 단항 연산자이다. print(n) --m의 값이 7로 변환되어 n의 값이 -7로 출력된다.
여기서 잠깐!
m = 10 - m --수학의 뺄셈
local n = - m --뒤에 있는 기호를 반대로 해주는 단항 연산자이다.
여기서 쓰이는 - 는 서로 다른 연산자이다.
뺄셈, 부호연산자 로 구분된다.
*주의점
루아에서는 + 연산자가 부호연산자로 사용되지 않는다.
local n = +m
이렇게 적으면 오류가 난다.
% 나머지
<html />local a, b = 3%2, 14%3 --값은 3나누기2 = 1, 14나누기3 = 2 local x, y = 2.3%2, 2.3%1.1 --정수만 되는 것은 아니다. 값이 각각 0.3, 0.1이 나온다.
실수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 거듭제곱 연산자
<html />local a = 2^10 --2의 10승이라는 뜻, 1024 a = 2^0.5 --2의 0.5승이라면 루트 2라는 뜻 --이런 식으로 ^ 기호를 사용하여 거듭제곱을 사용하면 루트 값도 쉽게 얻어낼 수 있다. a = 0.3^1.5 --이런 값도 쉽게 구할 수 있다. a = 2^-1 --역수다. 2분의 1이여서 0.5 값이 나온다.
[ 루트, 역수, 승 ] 표현 가능
'Lu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토랜드] Repeat - GetRemotePlayer, GetCharacter (0) | 2021.12.22 |
---|---|
[디토랜드] 변수 - 전역(global) 지역(local) (0) | 2021.12.22 |
[디토랜드] Print - math.floor .. (0) | 2021.12.22 |
[일단계 루아] 02강 루아의 문자열 (0) | 2021.12.10 |
Guide For Roblox Developer (0) | 2021.12.10 |